본문 바로가기
20대 사회 초년생에게 추천하는 보험과 재테크

근로소득세·지방소득세? 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세금의 정체

by 미래아빠 2025. 7. 7.
반응형

“아빠, 월급명세서 보면 ‘소득세’랑 ‘지방소득세’가 나뉘어 있던데, 그게 뭐예요?”
딸이 낯선 세금 항목을 보고 고개를 갸웃거리며 물었습니다.

“미래야, 그건 네 월급 중 일부가 나라와 지방자치단체에 나눠 납부되는 거야.
쉽게 말하면 국가 세금과 지역 세금으로 나눠서 내는 구조란다.
두 항목을 정확히 이해하면, 네 돈의 흐름을 더 잘 알 수 있어.”

세금절세


근로소득세란 무엇인가?

정의와 목적

근로소득세는 국가가 국민에게서 걷는 가장 기본적인 세금입니다.
월급을 지급하는 회사가 대신 계산해서 떼어주기 때문에
‘원천징수’라고 부릅니다.

  • 계산 방식: 매달 받는 급여액과 공제 대상(본인, 부양가족, 보험료 등)을 기준으로
    근로소득간이세액표에 따라 세금을 미리 떼어갑니다.
  • 목적: 국가 예산(교육, 복지, 국방 등) 운영 자금

딸에게는 이렇게 설명했습니다.
“미래야, 월급 명세서에 ‘소득세’라고 찍히는 건 너 혼자 내는 게 아니라,
정부가 네 세금을 미리 받고 나중에 연말정산으로 과부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는 과정이야.


지방소득세, 알고 보면 지역세

딸이 또 물었습니다.
“그러면 지방소득세는 뭐예요?”

답은 이렇습니다.
“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세의 약 10%를 추가로 걷는 지역 세금이야.
이는 주민이 사는 지역(지방자치단체)의 예산으로 활용돼.
즉, 국가 세금 외에 지방도 함께 내는 구조인 셈이지.”

  • 원천징수 방식: 근로소득세와 함께 자동으로 걷혀서
  • 영수증이나 명세서에선 “지방소득세(주민세 포함)”라고 표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 

주민세와 헷갈리지 말아야 할 포인트

딸이 “아빠 근데 8월마다 주민세 고지서가 오던데, 월급에서도 또 내는 건가요?”라고 묻자,
저는 이렇게 정리했습니다.

  • 월급에 붙는 지방소득세: 소득 대비 자동 공제
  • 8월에 별도로 내는 주민세: 지역 구성원으로서 내는 따로 고지되는 정액 세금
    개인분 주민세: 1만 원 수준
    – 월급에서 나가는 지방소득세와는 쓰임과 계산 방식이 다릅니다

“이 둘은 별개야. 하나는 매달 월급에서, 다른 하나는 연 1회 주소지 기준으로 걷는 거니까 중복 걱정은 안 해도 돼.”


예시로 보는 월급의 세금 구조

월급 250만 원 받는 사회 초년생 A씨의 월급 명세를 예시로 봅시다:

  • 총지급액: 2,500,000원
  • 국민연금: 약 90,000원
  • 건강보험+장기요양: 약 80,000원
  • 고용보험: 약 10,000원
  • 소득세: 약 20,000원
  • 지방소득세: 약 2,000원

→ 이 중 소득세+지방소득세는 약 22,000원,
세후 실수령은 약 2,300,000원이 됩니다.

딸에게는 이렇게 말했습니다.
“이 돈들이 왜 빠져나가는지 알면,
‘내 돈이 어디로 가는지’가 확실히 보이게 돼.
그게 월급을 제대로 이해하는 첫걸음이야.”


원천징수 방식의 장단점

장점

  • 일일이 계산 안 해도 된다: 회사가 자동 계산해서 떼어감
  • 탈세 예방: 원천적으로 세금을 거두기 때문에 탈세 어려움
  • 연말정산으로 환급도 가능

주의할 점

  • 공제 항목을 잘 챙겨야 과세가 적다
  • 연말정산 때 필요한 증빙을 놓치면 환급 기회를 잃는다
  • 변경된 공제 요건, 정책은 매년 다를 수 있다

연말정산 핵심 체크포인트

딸에게 전달할 실전 팁:

  1. 소득공제 항목 철저히 확인
    • 보험료, 신용카드, 교육·의료비, 주택청약, 교통비 등
  2. 증빙 자료 꼼꼼히 챙기기
    • 홈택스 ‘미리보기 서비스’ 활용 가능
  3. 맞벌이 또는 부양가족 있는 경우 전략적 배분
    • 공제 폭 늘려주는 핵심 포인트
  4. 근로소득세·지방소득세 관련 기본 금액 파악
    • 적으면 고용보험·건강보험만 신경 쓰게 되고,
    • 많으면 연말정산 준비만 잘하면 큰 환급 기대 가능

마무리 – 딸에게 전하는 조언

딸이 고개를 들어 말했습니다.
“이제 보니까, 월급에서 빼간 돈이 헛되지 않은 것 같아요.”

저는 미소 지으며 말했죠.
“그럼, 미래야, 이제부터는 네 월급 명세서 또는 연말정산 앱에서 세금 탭을 찾아라.
거기 보면 네가 낸 돈이 어디로 갔는지 정확히 나와.
그리고 내년엔 네 카드 사용이랑 공제 항목 그냥 넘기지 말고 준비해 봐.

돈은 아껴서 생기는 게 아니라,
내가 사용하는 구조를 알고 설계했을 때 더 제대로 늘어가는 법이야.
네 월급이 단순히 들어오고 나가는 돈이 아니라,
네 삶을 설계하는 도구가 되길 바란다.”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