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아빠, 회사에서 연말정산 끝났다고 하더니 며칠 전 월급 통장에 돈이 들어왔어요. 근데 이게 왜 들어온 건지 잘 모르겠어요.”
딸이 말하자 저는 미소 지으며 답했습니다.
“그건 아마 근로소득세를 너무 많이 냈다가 환급받은 돈일 거야.
사회 초년생일수록 세금이 과하게 원천징수 되곤 해서,
연말정산 때 돌려받는 경우가 많지.
하지만 중요한 건 ‘돌려받았구나~’ 하고 끝내는 게 아니라,
왜 돌려받았는지 확인하고, 내년엔 더 잘 챙길 수 있도록 준비하는 거야.”
오늘은 그런 맥락에서, 근로소득세 환급 후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봤습니다.
우선, 딸에게 이렇게 물었습니다.
“네가 작년에 어떤 지출을 했는지 기억나니?”
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 미리 납부한 세금(원천징수)과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을 비교해,
더 낸 만큼은 환급받고, 덜 낸 만큼은 추가 납부하는 절차입니다.
특히 사회초년생은 세율이 낮은 데 비해 자동으로 계산된 원천징수 세금이 많게 잡혀,
환급받을 확률이 높습니다.
환급 사유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딸에게 “홈택스 가봤니?”라고 묻자,
“회사에서 그냥 다 해주는 줄 알았어요.”라는 대답이 돌아왔습니다.
하지만 연말정산을 온전히 회사에만 맡겨두면 세금 환급을 놓칠 수 있습니다.
홈택스 접속 후 ‘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’ > ‘조회/발급’ 메뉴에서
공제자료 요약, 연말정산 신고내역, 환급 예상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“근데 아빠, 저는 10만 원밖에 안 들어왔어요. 친구는 40만 원 받았다던데…”
딸의 말에 저는 이렇게 조언했습니다.
“환급이 적다고 실망하지 마.
오히려 월급에서 빠져나간 세금이 적었다는 뜻일 수도 있어.
무작정 많이 돌려받는 게 좋은 게 아니야.”
※ 반대로 환급액이 지나치게 많았다면, 오히려 원천징수액을 과도하게 떼고 있었다는 뜻일 수 있으므로,
내년부턴 간이세액표 기준도 조정하는 게 좋습니다.
“아빠, 실손보험 납입증명서를 깜빡하고 못 냈는데, 이제 끝난 거죠…?”
딸의 걱정에 저는 고개를 저었습니다.
“아니야, 아직 기회는 있어.”
연말정산 자료를 놓쳤더라도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.
이 두 방법을 통해 놓친 자료가 있다면 환급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딸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.
“올해는 경험이라 생각하고, 내년에는 준비된 연말정산을 해보자.
그러면 1년에 30만~50만 원은 충분히 돌려받을 수 있어.”
“미래야, 연말정산은 그냥 ‘세금 돌려받는 행사’가 아니야.
너의 소비 습관과 지출 명세를 되돌아보고,
앞으로 어떤 항목에 돈을 쓸지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기회야.”
저는 덧붙였습니다.
“한 해 동안 ‘어디에 얼마를 썼는지’ 파악하고,
정부가 지원해주는 공제를 최대한 받는 사람만이
실질 소득을 높일 수 있어.
내가 네 월급을 대신 불려줄 순 없지만,
이런 세금 구조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
도와줄 수는 있어. 그게 아빠가 너한테 해줄 수 있는 진짜 재테크야.”
사회 초년생을 위한 신용관리 체크리스트 - 신용점수 800점 만들기! (1) | 2025.07.08 |
---|---|
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절세 항목 총정리 – 첫 월급부터 실천 가능한 절세 노하우 (1) | 2025.07.08 |
근로소득세·지방소득세? 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세금의 정체 (0) | 2025.07.07 |
20대 청년의 경기도 출, 퇴근자 대상 교통지원 제도 총 정리 (2) | 2025.07.04 |
사회 초년생 딸과 함께하는 ‘실손보험’ 제대로 가입하기 - 실손보험 갱신형 vs 비갱신형 분석 (2) | 2025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