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 월급을 받고 기뻤던 것도 잠시.
급여 명세서를 본 순간, 이런 생각이 들었을 겁니다.
“내가 받은 월급은 250인데, 왜 통장엔 220만 원만 들어왔지?”
그 원인 중 가장 큰 항목이 바로 **‘4대 보험’**입니다.
하지만 많은 사회초년생들이
✔️ 정확히 어디에 쓰이는지 모르고
✔️ 그냥 세금처럼 인식하거나
✔️ 연봉에서 빠지는 돈이라며 불만을 갖습니다.
그런데 사실 4대 보험은
**‘강제 저축이자 내 삶을 지켜주는 보험’**이기도 합니다.
이 글에서는
노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제도
📌 국민연금은 일종의 ‘국가가 운영하는 연금 적금’입니다.
📌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서 내 예상 수령액 확인 가능
병원에 갔을 때 진료비를 할인받기 위한 의료보험
📌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약 12% 수준으로 별도 표기됨
실직 시 실업급여, 직업훈련 지원 등 구직 안전망 역할
📌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모의 계산 가능
업무 중 사고나 질병이 발생했을 때 치료비와 보상 지원
📌 산재 발생 시 근로복지공단에 신청하여 혜택받을 수 있음
“공제 항목 너무 복잡해요…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.”
월급명세서에서 4대 보험 공제 예시를 한번 보겠습니다:
항목 내용 공제금액 누가 부담
국민연금 | 연금 적립 | 99,000 | 본인 (회사도 동일 금액 부담) |
건강보험 | 병원비 할인 | 76,000 | 본인 (회사도 동일) |
장기요양 | 요양시설 대비 | 9,000 | 본인 (회사도 동일) |
고용보험 | 실업급여 재원 | 20,700 | 본인 (회사 일부 부담) |
💡 회사도 내 월급과 비슷한 액수를 함께 부담하고 있음 → ‘숨은 복리’ 효과
→ 60세 이후를 위한 복합 설계 가능
→ 세대 분리 전이라면 부모님 병원비도 보험 혜택
→ 중간 퇴사나 경력 단절에 안정적인 재취업 준비 가능
→ 4대 보험 포함 총비용 인지 → 실수령 기준 연봉협상 가능
사회초년생에게 4대 보험은
월급에서 빠지는 돈이자,
삶의 리스크를 줄여주는 보장금입니다.
✔️ 국민연금은 나의 노후를 준비하고,
✔️ 건강보험은 병원비 부담을 줄이며,
✔️ 고용보험은 실직 후 삶을 지탱하고,
✔️ 산재보험은 일터에서의 사고를 보호합니다.
4대 보험료를 그냥 '세금'이라 생각하지 말고,
미래를 위한 투자, 나 자신을 지키는 안전망이라 생각해 보세요.
퇴사할 때 실업급여 꼭 받는 법, 조건과 신청 꿀팁 정리 (3) | 2025.07.17 |
---|---|
재산세 부담 줄이는 꿀팁 – 사회초년생 감면 혜택 총정리 (2) | 2025.07.16 |
비과세 통장부터 세테크 초급전략까지 – 20대 사회초년생 월급쟁이의 세금 설계 (2) | 2025.07.14 |
당신의 비상금은 얼마? 20대 사회초년생의 비상금은 얼마가 적당한지 알려드립니다. (3) | 2025.07.13 |
사회초년생 재테크, 월급으로 시작하는 자동 저축 시스템 만들기 (3) | 2025.07.12 |